본문 바로가기
생활 속 정책 브리핑

청년내일저축계좌 [2025 신청기간, 신청조건, 만기 수령액까지 총정리]

by '나루지기' 2025. 4. 28.
반응형

 

청년계좌가입하는 모습과 만기 목돈을 받고 즐거워 하는 모습

요즘 청년내일저축계좌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지만, 실제로 제도를 정확히 알고 계신 분들은 생각보다 많지 않습니다.

자격 조건이 충족되는데도 "나는 해당이 안 될 것 같다"고 미리 판단하거나, 혜택을 잘 몰라서 신청을 망설이는 경우도 적지 않습니다.

청년내일저축계좌는 아무 때나 신청할 수 있는 것이 아니며, 신청 기간이 정해져 있습니다. 이번 신청 기간은 5월 2일부터 5월 21일까지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청년내일저축계좌에 대해 꼭 필요한 신청조건과 만기 수령액까지 핵심 내용만 쉽게  정리해드리겠습니다. 3년 동안 꾸준히 준비하면 누구나 목돈을 마련할 수 있으니, 꼭 끝까지 읽어보시고 본인 상황과 비교해 보시길 바랍니다.

청년내일저축계좌란 무엇인가요?

청년내일저축계좌는 근로 중인 저소득 청년이 매달 일정 금액을 저축하면 정부가 추가로 지원금을 적립해주는 자산형성 지원 제도입니다.

본인이 매달 10만 원씩 3년 동안 저축하면, 정부는 같은 금액 또는 그 이상의 금액을 추가로 적립해 최대 1,080만 원까지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여기에 금융기관 이자 혜택까지 더하면 총 1,400만 원이 넘는 목돈을 마련할 수 있습니다.

사회적 취약계층 청년들에게는 경제적 자립 기반을 다질 수 있는 든든한 제도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신청대상과 자격 요건

   구 분      내 용
  나이   만 19세 이상 34세 이하 청년
  소득   기준 중위소득 50% 초과 100% 이하 (1인 가구 약 220만 원 이내)
  근로 요건   현재 근로 중이거나 사업소득 활동 중
  가구 재산   대도시 기준 약 2억 원 이하 (지방 약 1.7억 원 이하)

청년내일저축계좌 유지 기준

청년내일저축계좌 가입 후 3년 동안 근로활동 지속, 매월 본인 저축금 납입, 기준 중위소득 100% 이하 소득 유지 조건을 충족해야 합니다.

적립중지 제도

군 입대, 임신·출산, 육아휴직 등 부득이한 사유가 발생할 경우 적립중지 제도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 일반 중지는 최대 6개월, 특별 사유는 최대 2년까지 가능합니다.

저축계좌 적립중지 사유가 발생한 군입대. 휴직. 임신 등을 표현한 일러스트

 

여기까지 읽어주신 분들께 보너스 타임입니다 

여기서 잠깐 머리도 식힐겸 재밌는 퀴즈나 풀고 운 좋으면 경품타고  아니면 기분 전환했다고 생각하는 시간을 가져볼까요? 

최근 청년내일저축계좌는 정부 정책퀴즈에서도 소개되었습니다. 611회 정책퀴즈 문제는 "청년내일저축계좌 가입이 가능한 사이트 명칭은 무엇일까요?"입니다. 정답은 '복지로'입니다.

퀴즈 응모 기간은 2025년 4월 28일 오부터 5월 6일까지이며, 당첨자 발표는 5월 7일입니다.

정책퀴즈 응모 바로가기

만기지급 조건

만기 시 자립역량교육(10시간) 이수 및 자금사용계획서 제출 요건을 충족해야 정부지원금을 포함한 전체 적립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예상 수령액

     구분          금액(3년 합산)
   본인 저축액       360만 원 (10만 원 × 36개월)
   정부 매칭지원금       360만 원
   예상 이자 혜택       약 20만 원 (연 3% 가정)
   총 수령 예상금액        약 740만 원 (또 다른 혜택 포함시 최대 1,400만원까지 가능)

신청 방법과 일정

신청 기간은 2025년 5월 2일부터 5월 21일까지입니다.

신청 방법은 읍면동 주민센터를 방문하거나 복지로에 접속하여 온라인으로 신청할 수 있습니다.

좀 더 구체적인 내용이 궁금하시면 자산형성포털에 가셔도 확인이 가능합니다.

청년내일저축계좌는 성실히 준비하면 목돈을 만들 수 있는 소중한 기회입니다.

자격요건을 잘 확인하시고, 신청 기간을 놓치지 말고 꼭 참여해보시길 바랍니다.

자산형성포털에서 가져온 이미지로 청년내일저축계좌 신청절차를 이미지로 만들어 논 것입니다.
이표는 독자님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 자산형성포털에서 가져온 이미지입니다.

                                              

                                                 

 

                   

반응형